Information Technology/클라우드 & SaaS

AWS 프리 티어 100% 활용하기: 초보자를 위한 가이드

IT 프로의 스마트한 재테크 2025. 3. 21. 15:50

 

 

AWS 프리 티어 100% 활용하기: 초보자를 위한 가이드

AWS 무료 서비스로 클라우드 경험 쌓기! 활용법부터 주의사항까지

클라우드 컴퓨팅이 필수 기술로 자리 잡으면서, **Amazon Web Services(AWS)**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클라우드 플랫폼이 되었습니다.
특히 **AWS 프리 티어(AWS Free Tier)**를 이용하면 12개월 동안 무료로 다양한 AWS 서비스를 체험할 수 있어 초보자도 부담 없이 클라우드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.

하지만 프리 티어를 제대로 활용하지 않으면 예기치 않은 과금이 발생할 수도 있고, 제공 서비스의 제한 사항을 놓칠 수도 있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AWS 프리 티어의 제공 서비스, 활용 사례, 주의해야 할 사항까지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보겠습니다.


1. AWS 프리 티어란? 무료 서비스 개요

AWS 프리 티어(AWS Free Tier)란?

AWS 프리 티어는 AWS의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일정 한도 내에서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.

📌 AWS 프리 티어의 주요 특징
신규 가입자는 12개월 동안 무료 이용 가능
✔ 일부 서비스는 기간 제한 없이 무료 제공 (Always Free Tier)
✔ 사용량이 무료 한도를 초과하면 자동 과금 발생 (주의 필요!)

 

AWS 프리 티어에서 제공하는 주요 서비스 & 제한 사항

서비스 무료 제공량 (월 기준) 주요 제한 사항 활용 예시
EC2 (Elastic Compute Cloud) 750시간 t2.micro 또는 t3.micro 인스턴스만 지원 가상 서버 생성 및 웹사이트 호스팅
S3 (Simple Storage Service) 5GB 저장 공간 요청 횟수 및 데이터 전송 제한 있음 파일 및 이미지 저장
RDS (Relational Database Service) 750시간 db.t2.micro 사용 가능, 자동 백업 제한 MySQL, PostgreSQL 등 데이터베이스 실행
Lambda 100만 요청 초당 실행 시간(GB-초) 제한 서버리스 애플리케이션 실행
CloudFront 50GB 데이터 전송 글로벌 엣지 로케이션 제한 콘텐츠 배포 및 캐싱

💡 한마디로 정리하면: AWS 프리 티어는 개발자와 학생들이 AWS를 학습하거나, 개인 프로젝트를 실행하는 데 적합한 무료 클라우드 환경을 제공합니다.


2. AWS 프리 티어 활용 사례: 어떻게 사용할 수 있을까?

AWS 프리 티어를 이용하면 단순한 실험을 넘어 실제 프로젝트를 구축하는 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.

활용 사례 1: 개인 웹사이트 또는 포트폴리오 호스팅

EC2를 사용해 가상 서버를 생성하고, S3 및 CloudFront로 정적 웹사이트를 배포
✔ 예: 개인 블로그, 포트폴리오 웹사이트 구축

활용 사례 2: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테스트 환경 구축

EC2 및 RDS를 활용해 웹 애플리케이션의 백엔드와 데이터베이스 구성
✔ 예: Django, Node.js, Flask 등을 활용한 개발 테스트

활용 사례 3: 데이터 분석 및 머신러닝 학습

S3, Lambda, SageMaker 등을 활용해 데이터 분석 및 AI 모델 학습
✔ 예: 간단한 머신러닝 프로젝트 실습

활용 사례 4: 서버리스 애플리케이션 개발

AWS Lambda, API Gateway, DynamoDB를 조합하여 서버 없이 애플리케이션 구축
✔ 예: 간단한 챗봇, API 서비스 운영

📌 핵심 포인트
AWS 프리 티어를 활용하면 실제 클라우드 환경에서 프로젝트를 실습하고, 비용 없이 경험을 쌓을 수 있습니다.


3. AWS 프리 티어 사용 시 주의할 점

AWS 프리 티어는 무료로 제공되지만, 사용량을 초과하면 자동으로 과금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비용 관리와 모니터링이 필수입니다.

주의사항 1: 사용량 초과 방지 (과금 위험!)

✔ AWS 프리 티어는 사용량 초과 시 자동으로 요금이 부과되므로 주의 필요
✔ EC2, RDS 등의 서비스는 750시간(=한 달 내내 실행)까지 무료 → 초과하면 과금 발생

 

📌 해결 방법:
1️⃣ AWS 비용 관리 대시보드에서 사용량 확인
2️⃣ Billing Alerts 기능을 활성화하여 예상 비용 초과 시 알림 받기


주의사항 2: 사용하지 않는 서비스는 반드시 종료

EC2, RDS 인스턴스가 실행된 상태로 남아 있으면 과금 발생
EBS(Elastic Block Store) 볼륨도 삭제하지 않으면 비용 발생

 

📌 해결 방법:
1️⃣ 사용이 끝난 EC2, RDS는 반드시 ‘중지(Stop)’ 또는 ‘삭제(Terminate)’
2️⃣ EBS 볼륨 및 S3 객체를 정기적으로 정리하여 불필요한 스토리지 비용 방지


주의사항 3: 프리 티어 12개월 만료 후 과금 발생

✔ AWS 프리 티어는 가입 후 12개월 동안만 무료 제공
✔ 12개월이 지나면 일반 요금이 적용되므로 반드시 확인해야 함

 

📌 해결 방법:
✔ AWS 콘솔에서 프리 티어 종료 날짜 확인
✔ 12개월 이후 계속 사용할 경우 과금 예상 비용을 사전에 확인


주의사항 4: 데이터 전송 비용 (Hidden Cost)

✔ AWS 프리 티어는 내부 트래픽은 무료지만, 외부 트래픽(인터넷으로 나가는 데이터)은 요금이 부과될 수 있음
✔ CloudFront, S3에서 데이터 전송이 많아지면 추가 비용 발생 가능

 

📌 해결 방법:
무료 제공량 내에서 사용량을 조절
✔ 데이터 트래픽이 많다면 CloudFront를 활용해 최적화


4. 결론 – AWS 프리 티어를 100% 활용하는 방법

AWS 프리 티어는 초보자가 클라우드를 학습하고 프로젝트를 배포할 수 있는 최고의 기회
EC2, S3, RDS 등 주요 서비스를 활용해 실전 경험 쌓기 가능
사용량 초과 방지 및 12개월 이후 과금 주의 필요

💡 AWS 프리 티어를 적극 활용하여 클라우드의 기본 개념을 익히고, 실전 프로젝트를 진행해보세요!